노비 정초부, 詩人이 되어
양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다
東湖 동호
鄭樵夫 정초부(1714~1789) 조선후기 노비시인
東湖春水璧於藍 동쪽 호수 봄 물은 남색보다 더 푸른데
白鳥分明見兩三 흰 새 또렷이 보이느니 두 세마리
柔櫓一聲飛去盡 살짝 노젓는 소리에 다 날아가 버리고
夕陽山色滿空潭 석양의 산 빛만 빈 못에 가득차네
정초부의 시가 실려 있는 '병세집'. KBS 제공
|
한 척의 나룻배가 강을 건너는 모습을 묘사한 김홍도의 ‘도강도’. 그림의 상단에는 김홍도가 영감을 받았다는 시가 쓰여 있다. 서정적이고 회화적인 필치로 쓰인 시, ‘동호범주(東湖泛舟)’. 그런데 최근 이 시와 동일한 작품이 실린 시집인 ‘초부유고(樵夫遺稿)’가 발굴됐다. 조선 후기 천재 화원의 마음을 움직인 시인은 초부(樵夫). 그는 다름 아닌 ‘나무꾼’이었다.
조선 후기 최고 시인들의 작품을 실은 ‘병세집’에는 정초부의 시가 무려 11수나 실려 있다. 기록에 따르면 정초부는 동원아집(東園雅集)과 같은 양반들의 시회에 초대받아 그들과 함께 시를 지었다. 그의 시에 감명 받은 양반들은 그가 살던 양근(지금의 양평) 월계협으로 직접 찾아오기까지 했다. ‘월계초부’ 정초부의 시가 실린 조선시대의 시선집은 발견된 것만 10여권에 이른다.
한시는 운율과 음의 높낮이 등을 맞춰 기승전결에 맞게 풀어낸다. 한 편의 한시를 짓기 위해서는 한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15개 내외의 규칙들을 충족해야 해 보통 10년 이상 공부해야 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교육을 받지 못한 노비는 어떻게 한시를 쓸 수 있었을까.
정초부의 주인은 그가 가진 특별한 재능을 알아보고 아들의 글공부에 함께 하도록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 아들 여춘영은 노비 정초부를 스승이자 친구로 여겼다. 여춘영의 문집인 ‘헌적집’에는 정초부에 대한 시, 두 사람이 함께 지은 시 뿐 아니라 그의 죽음을 애도한 제문까지 실려 있다. 신분의 벽을 뛰어 넘어 깊은 교우 관계에 있었던 주인과 노비. 여춘영은 정초부의 시를 사대부 사회에 널리 소개하며 그를 세상에 알렸다.
기록에 의하면 정초부는 43세 무렵에 면천되어 양근 갈대울에 거주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나무꾼 신세였다. 양인이 된 정초부는 시인으로서의 높은 명성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가난에 시달렸다. 그는 굶주림에 시달리는 삶의 애환을 특유의 서정적 필치로 시에 담아냈다.
KBS1 ‘역사스페셜’은 세상의 벽 앞에 날개를 접고 고단한 인생을 살 수 밖에 없었던 노비 시인 정초부 삶을 되돌아본다. 17일 오후 10시 방송.
노비 정초부, 시인(詩人)이 되다 | |||||||||||||||||||||||||||||||||||
| |||||||||||||||||||||||||||||||||||
|
'해월의 뜨락 > 문학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 창조신춘문예 작품공모 (0) | 2011.12.07 |
---|---|
강원시조 제26집 출판기념회 및 강원시조문학상 시상식 스케치 (0) | 2011.11.27 |
(사)한국시조협 / 2011 임시총회 및 이사회 스케치 (0) | 2011.11.05 |
낭만시인 시상식 (0) | 2011.10.31 |
덕수궁 돌담길 / 낭만시인들, 황금빛에 물들다 (0) | 201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