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성호의 옛집읽기 ; 38 ~56>
-
[함성호의 옛집 읽기]<56>‘중용의 집’ 도동서원9시간전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 [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서원(書院)이란 명칭은 당나라 때 궁중에 설치되어 서적을 편찬하고 보관하던 집현전서원에서 유래되었다. 조선의 서원건축에서 보이는 장서고는 서원의 이러...
-
[함성호의 옛집 읽기]<55>‘초기 성리학의 관용’ 소수서원2012.04.17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 [동아일보] 동아일보DB 조선의 성리학은 많은 점에서 뒤틀린 모습을 보인다. 안향이 전한 성리학은 당시 원나라 성리학을 주도한 노재(魯齋) 허형(許衡)의 학풍으로 우주론적인 이기(理...
-
[함성호의 옛집 읽기]<54>‘진중한 파격’ 남간정사2012.04.16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 [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대전 동구 가양동에 있는 남간정사(南澗精舍)는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1607∼1689)이 1683년, 나이 77세에 지은 별서(別墅)정원이다. 지금은 소제동의 별당...
-
[함성호의 옛집 읽기]<53>‘이 세상 집이 아닌 집’ 옥류각2012.04.13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 [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동춘당 송준길은 당파가 뚜렷했던 당시의 분위기에서는 특이한 인물이었다. 학문적으로는 율곡 이이와 사계 김장생으로 이어지는 기호 예학을 이었고, 정치적...
-
[함성호의 옛집 읽기]<52>‘굴뚝이 없는 집’ 동춘당 2012.04.12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동아일보DB 아는 출판사 직원이 충청도에 놀러갔다. 끼니가 되어 음식점에 들렀다. 딱히 뭘 먹자고 들른 곳도 아니어서 차림새에 눈길을 주는 둥 마는 둥하고 주인에게 물었...
-
[함성호의 옛집 읽기]<51>‘기호예학의 단청’ 쌍청당 2012.04.11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동아일보DB 대전 대덕구 중리동은 대대로 은진 송씨(恩津 宋氏)들이 모여 살던 곳이다. 옛날에는 이 마을을 윗중리, 백달촌 또는 하송촌이라 불렀는데 마을 동쪽은 상송촌으...
-
[함성호의 옛집 읽기]<50>‘가장 오래된 살림집’ 맹씨행단 2012.04.10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충남 아산에 있는 맹씨행단(孟氏杏壇)의 주산은 설화산이다. 봉우리가 우뚝 솟은 이 잘생긴 산은 망경산과 태화산을 거쳐 아산에 이르고, 거기에서 다시 흑성...
-
[함성호의 옛집 읽기]<49>‘세 번째 꽃송이’ 산수정 2012.04.09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벼슬에서 물러나 선원마을로 돌아온 매산 정중기는 마침 닥친 천연두로 아우와 두 사촌아우를 잃는다. 그래서 천연두를 피해 1741년 56세 때 선원리에서 약 1...[함성호의 옛집 읽기]<48>‘두 번째 꽃송이’ 산천정 2012.04.06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
-
[함성호의 옛집 읽기]<47>‘한 송이 매화’ 매산고택 2012.04.05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격암 남사고(格庵 南師古)는 영남의 길지로 조령과 영천을 꼽았다. 흔히 영천을 일러 이수삼산(二水三山)의 고장이라고 한다. 두 물은 자현천과 고현천을, 세...
-
[함성호의 옛집 읽기]<46>‘연못 위의 집’ 하엽정 2012.04.04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달성군 제공 대구 달성군에 있는 하엽정(荷葉亭)은 삼가헌 박성수의 별당이다. 삼가헌을 지은 그 이듬해인 1770년 택지의 서쪽에 네 칸짜리 파산서당(巴山書堂)을 지은 것이...
-
[함성호의 옛집 읽기]<45>‘매곡리의 매화향기’ 향양정 2012.04.03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동아일보DB 향양정(向陽亭)은 매산 정중기의 증손자인 정귀휴(鄭龜休·1786∼1852)가 1844년 경북 영천군 임고면 매곡리에 지은 정자이다. 정귀휴의 호 역시 향양정이다. 옛사...
-
[함성호의 옛집읽기]<44> ‘아버지와 아들의 대화’ 삼가헌 2012.04.02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삼가헌(三可軒)은 충정공 박팽년(朴彭年)의 11대손인 박성수(朴聖洙)가 1769년에 지은 집이다. 당시에는 초가였던 것을 현재...
-
[함성호의 옛집 읽기]<43>‘조선의 콘퍼런스홀’ 달전재사 2012.03.30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조선시대에는 제사도 참 많이 지냈다. 계절마다 좋은 날을 잡아서 드리는 시제, 동지에 성씨의 처음인 분에게 드리는 시조제, 입춘에 여러 윗대에게 지내는 선...
-
[함성호의 옛집 읽기]<36>이층집 대산루 2012.03.21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상주시청 제공 '철학으로 읽는 옛집'이란 책을 내고 나서 사람들에게 많이 받는 질문 중의 하나가 "우리 옛집에는 왜 이층집이 없죠?"라는 것이다. 철학도 아니고, 옛집의 사...
-
[함성호의 옛집 읽기]<42>서원건축 적용한 ‘능동재사’ 2012.03.29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경북 안동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재사(齋舍)가 유난히 많다. 안동은 다른 어느 지역보다 가장 먼저 토착 성씨가 발생했고 씨족의 수도 많은 곳이다. 안동의 호...
-
[함성호의 옛집 읽기]<41>‘진성 이씨의 정원’ 가창재사 2012.03.28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조선의 살림집들은 안채와 사랑채를 중심으로 내부공간에 큰 변화가 없다. 그러나 재실은 대청과 누마루를 중심으로 제사의 기능상 공간의 위계가 뚜렷하기 때...
-
[함성호의 옛집읽기]<40>‘나와 같이 걷는 집’ 남흥재사 2012.03.27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우리는 3차원 공간에 시간을 더한 4차원 시공간(時空間)에서 살고 있다. 공간과 시간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우리가 시간을 느끼는 것은 공간을 통해서다. 거리...
-
[함성호의 옛집 읽기]<39>제사 위한 건물 ‘서지재사’ 2012.03.26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재사(齋舍)란 조상의 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 건물을 말한다. 당연히 무덤 가까이에 있고, 살림집과 달리 사용하는 횟수가 정해져 있다. 이곳은 죽은 자...
-
[함성호의 옛집 읽기]<38>‘안동의 2층집’ 의성 김씨 종택 2012.03.23 | 동아일보 | 미디어다음[동아일보] 문화재청 제공 조선의 2층집은 누각이나 서원을 제외하고 경북 안동에 있는 재실(齋室)만 따져도 100채가 넘는다. 재실 중에는 2층에 온돌을 안 한 집도 있지만 우복 종택처...
'해월의 뜨락 >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송 서거 50주년기념 / 진경시대 회화대전 (0) | 2012.05.23 |
---|---|
창덕궁 후원을 돌다 (0) | 2012.04.21 |
국악방송 멋진 님들 / '참국사'와 함께하는 덕수궁 산책 (0) | 2012.04.02 |
3.1 정신의 진원지를 찾아 (3 ) / 김성수선생 옛집, 만해당, 중앙고등학교, 반월석정 (0) | 2012.03.26 |
함설호의 옛집읽기 (0) | 201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