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 한국, 한국인/꽃과 나무 그리고 풀

2. 영춘화

채현병 2018. 3. 15. 12:08

       2. 영춘화

                                                                                                                                     (2018. 3. 13)



 

   * 分類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

   * 性狀 : 落葉闊葉灌木

   * 學名 : Jasminum nudiflorum LINDL.

   * 英名 : Winter Jasmine

   * 漢名 : 迎春化. 黃梅

   * 原産地 : 中國 (중국의 雪中四友 / 玉梅花, 迎春花, 水仙花, 山茶花)

   * 分布地 : 중부이남

 

 . 특징 및 용도

     농록색 네모기둥 모양의 가늘고 기다란 가지는 덩굴성이 있어 아래로 늘어지는 성질이 있다. 꽃은 이른 봄에 가장 일찍 잎보다 먼저 피기 때문에 迎春花라고 한다. 16세기 전후해서 한국에 도입. 1844년 유럽에 소개됨.

 

 . 형태

     - : 3출복엽, 마주 붙어 나는 작은 잎은 심록색 타원상 卵形

     - : 3~4월 개화, 황색, 직경 2~2.5Cm 高盆形 6, 수술 2, 암술 1, 꽃받침 6, 芳香性精油 Jasmon 함유

     - 열매 : 빨간 열매, 11월 결실

     - 樹皮 : 농녹색, 가지 밑동에 氣根(공기뿌리)이 나옴

     - 樹高 : 1~1.5m

 

  다. 생태적인 특성

     - 耐寒性 : (영하 6도 이상) - 음양성 : - 수분 : 適潤地

     - 耐鹽性 : - 내공해성 : - 萌芽力 :

     - 이식 : 용이 - 土性 : 사질양토 - 생장속도 :

 

  라. 繁殖方法 : 揷木, 分株

 

 . 관련 고사

   중국 고대에 홍수가 범람하여 많은 백성들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 갔다고 한다. 우왕禹王은 홍수의 피해 상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산지방을 순찰하다가 한 처녀를 만났다. 두 사람은 첫눈에 마음이 맞아 백년해로의 가약을 맺었으나, 우왕은 치수사업에 골몰하느라 여념이 없었기 때문에 신혼생활 며칠 만에 부인과 헤어질 수밖에 없었다.

   우왕은 도산녀의 허리를 꽉 졸라매어 도망가지 못하게 허리띠(형등)를 하사하면서허리띠에 꽃이 피면 홍수는 물려가고 백성들은 다시 생업에 종사하며 편안한 생활을 누리게 될 것이다.” 그때 우리는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우왕은 온 백성을 동원하여 동서남북 물길을 내느라 자기 집 앞을 세 번이나 지나치면서도 집안에 들릴 겨를이 없었다. 우왕의 노력으로 강물은 바다로 빠지게 되어 백성들은 편안한 삶을 영위하고 농사도 풍년이 들었다고 한다.

   도산녀는 남편 우왕이 떠난 후 매일 산에 올라 남편이 떠나간 쪽을 바라보며 남편을 그리워하였다. 남편이 세 차례나 집 앞을 지나치면서도 치수사업에 여념이 없어 잠시도 집에 들르지 않아도 도산녀는 남편을 한 번도 부른 적이 없었다.

   세월이 지나는 동안, 도산녀는 남편을 기다리다가 석상으로 변해 버렸다. 도산녀의 손에 쥐고 있던 허리띠는 자라면서 푸른색으로 변하여 가지를 뻗기 시작했다. 우왕은 도산녀의 석상 앞에 엎드려 대성통곡했다. 우왕의 눈물이 뚝뚝 떨어져 허리띠를 적시기 시작했다. 허리띠는 꽃망울을 터뜨리며 한 송이 담황색 황금 꽃을 활짝 피웠다. 우왕은 도산녀의 순결하고 숭고한 정신을 기념하기 위하여 꽃의 이름을 봄을 맞는 영춘화迎春花라고 했다. 그래서 중국의 개나리 영춘화의 꽃말은사모하는 마음이라고 한다.

 

바. 사진 (2018. 3. 13, 오금공원)




'ㄴ 한국, 한국인 > 꽃과 나무 그리고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길마가지나무  (0) 2018.04.04
4. 생강나무  (0) 2018.04.04
3. 산수유  (0) 2018.04.04
1. 풍년화  (0) 2018.03.15
해월의 강좌 (1) 꽃따라 길따라 / <한국, 한국인>을 개설  (0) 2018.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