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걸음 더 들어가기 >
시조(時調)
3장 6구 12음보의 율격을 갖춘 우리나라의 전통 정형시로 '시절단가음조(時節短歌音調)' 의 준말이며 '시절가(時節歌)' 또는 '시조시(時調詩)'로 부르기도 한다.
시조는 율격을 갖춘 정형의 반듯한 그릇 속에 초장 3 4 3 4 자수, 중장 3 4 3 4 자수, 종장 3 5 4 3 자수를 기본으로 응축시켜 표현하되, 종장 첫 음보는 반드시 3자수로 담겨야 하고 나머지 음보는 1~2 자수의 여유로움이 있다
시조(時調)의 종류
1. 시조의 형식에 따른 종류 ( 시조시의 음수율에 따라 분류)
① 평시조 (平時調)
초 중 종장이 각 15자 내외, 총 45자 내외로 이루어진 단형시조(短形時調)
② 엇시조
평시조보다 초 중장 가운데 어느 한장의 길이가 긴 중형시조(中形時調 )
③ 사설시조(辭說時調)
초장·중장이 제한 없이 길며, 종장도 길어진 장형시조(長形時調)
④ 연시조(連時調)
한 제목 밑에 여러 수의 평시조를 엮어나간 시조
⑤ 양장시조(兩章時調)
평시조를 압축하여 초장과 종장만으로 된 시조로 시조의 변형
⑥ 단장시조(單章時調)
평시조를 더욱 압축하여 종장만으로 된 시조의 변형
⑦ 동시조(童時調)
어린이의 생각이나 느낌 또는 어린이의 세계를 표현한 시조로서
현대시조와 함께 탄생했으며 많은 작품이 발표되어 읽히고 있다
2. 시조창(時調唱)에 따른 종류
(가) 지역적 특성으로 분류
① 경제(京制)
서울,경기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시조창. 굴곡,황,중 음계가 분명하고
중 종장 한군데씩 높음 속청이 있음
② 완제(完制)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시조창. 사설시조 중심으로 웅심화평함
③ 내포제(內浦制)
충청도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시조창. 사설시조 중심으로 온화하고 점잖음
④ 영제(嶺制)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시조창. 굳센기상이 느껴짐
⑤ 석암제(石庵制)
정경태 선생의 창제(唱制)로 경제와 영제 및 완제를 합한 것임
(나) 가락적(창법) 형태로 분류
① 평시조
시조창의 기본이라는 뜻의 '평화한 시조'란 뜻에서 평시조라 함
화평하고 웅장하게 부른다
② 사설시조
영,정조 이후 서민문학의 발생과 함께 발생한 장형시조이다
지방제의 시조에만 있으며 평시조 장단법을 그대로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초장,종장은 박자안에서 부르나 길어진 중장에서는 연장법을
써가며 변화있게 부른다
③ 여창지름시조
여성의 소리로 곱게 질러내듯이 초장 처음부터 높게 부르며 속청으로
높게 부르는 부분이 많다
④ 남창지름시조
겉청으로 남자가 꾸짖듯이 높게 질러내듯 부른다
⑤ 중허리시조
중간부분에 허리를 들 듯 소리질러 부른다
⑥ 각시조
중장에 5,8,5,8 박이 더 들어있다하여 각시조라 부르며, 5박도 1각이요
8박도 1각이다
⑦ 사설지름시조
초장은 지름시조로 부르고 종장은 평시조로 부른다
중장만은 융통성 있게 부드럽고 흥취있게 부른다
⑧ 온지름시조
초장은 남창지름, 중장은 중허리식으로 부른다
⑨ 우시조
초장중에서 8박곡은 우조로 부르고, 중 종장도 이에 어울리게 부른다
⑩ 우조지름시조
초장은 남창지름으로, 중장 첫 5,8,8박은 우조로 부르고,
종장은 지름으로부른다
⑪ 반각시조
초장이 평시조일때는 종장을 사설시조로, 초장을 사설시조로 같이
부를때에는 종장을 평시조로 부른다
⑫ 엮음지름시조
남창지름으로 시작하여 세마치장단으로 부른다
⑬ 엇시조
장시조라고도 한다.
사설시조 형식의 하나로서 초장과 중장은 짧고 중장은 대중없이 길다
⑭ 연형시조
연시조라고도 한다.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율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등이 있다
'해월의 시조마루 > 시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네 선비들의 시조관 (0) | 2011.01.16 |
---|---|
<청구영언> 어떤 측면에서 편찬되었을까? (0) | 2011.01.07 |
<오느리> / 임란때 왜국포로로 끌려간 도공들의 옛노래 (0) | 2010.12.13 |
시조의 <北殿기원설>을 뒷받침하는 노랫말(성호경교수) / 권두환교수 논문 (0) | 2010.12.13 |
동시조 길잡이 1 (0) | 2008.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