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법 준법 [ts'unfa, 法]미술 | 브리태니커 (병) cunfa (웨) ts'unfa. 동양회화에서 산이나 바위의 입체감과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기법. 김응환의 그림 당나라의 산수화에서도 산의 주름과 질감을 표현하려고 했으나 이것은 체계적인 준법이 나타나기 이전의 초기 양식이다. 오늘날 준()이라고..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8.17
선비정신 / 세계가 탐내는 엘리트정신 "선비정신이 구닥다리? 세계가 탐내는 엘리트 전통이죠" 안동=전병근 기자 이메일 bkjeon@chosun.com 입력 : 2012.09.21 03:06 | 수정 : 2012.09.21 14:24 정옥자·페스트라이쉬 교수 안동 군자마을서 토크 콘서트 정옥자 교수 - "선비는 한마디로 '맑음'의 덕목, 조선왕조 500년을 지탱한 힘" 페스트라이쉬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7.22
정옥자 교수 / 조선선비 리더십 조선일보에서 정옥자 교수의 '조선 선비 리더십'… 治人은 백성을 위한 봉사 정옥자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가 로타리클럽에서 펼친 ‘조선 선비의 삶과 선비 정신’ 강연 내용을 요약해 소개한다. ▲ 정옥자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 조선시대 지식인은 '선비(士)'다. 선비는 꼿꼿한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7.22
전통문화체험 관리지도사 지도자과정 1기 모집 전통문화체험 관리지도사 지도자과정 1기 모집 전통문화체험 관리지도사는 자격기본법 제17조 제2항과 같은법 시행령 제 23조 제4항과 제23조의2 제2항에 의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인증한 (등록번호 2013-1949호) 민간 자격증으로, 각 문화원 교양강좌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자, 각 지자체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5.14
고전소설 전우치전 고전소설 / 전우치전田雲致傳 2012/11/07 10:53 ; <꾸마이 책에 빠지다>에서 복사 현대어역(경판 37장본, 전운치전) 화설(話說). 고려(高麗) 말(末) 남서부(南西部) 땅에 일위(一位) 명사(名士)이름난 인사(사람)가 있으니, 성(性)은 전(田)이오 명(名)은 숙이오 별호(別號)는 운화선생이라. 대..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2.04
묘법연화경과 조맹부 妙法蓮華經과 趙孟頫 1.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法華經) Saddharmapuṇḍarῑka-sūtra '진실한 가르침의 연꽃이라는 경'의 약칭이다. 천태종(天台宗)을 비롯한 여러 불교 종파에서 불교의 정수를 담고 있는 경전으로 존중되어왔다. 〈법화경〉은 그밖의 여러 종파의 사람들에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2.02
韓愈 / 進學解 진학해(進學解)-한유(韓愈) 國子先生(국자선생) : 국자선생이 晨入太學(신입태학) : 아침 일찍 태학에 들어가 招諸生立館下(초제생입관하) : 학생들을 불러 교사 아래에 세워 놓고 誨之曰(회지왈) : 훈화하셨다 業精于勤(업정우근) : “학업은 부지런한 데서 정진되고 荒于嬉(황우희) : 노는..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2.01
한옥의 다양한 지붕 형태 <한옥의 다양한 지붕 형태> 다양한 지붕형태| 한옥알기 나무쟁이 2010.01.09. 23:20 우리 한옥의 다양한 지붕의 모습들을 한 자리에 담아 보았습니다. 보면 볼수록 옛사람들의 안목이나 솜씨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그림들입니다. 맞배지붕 - 귀틀집 위에 청석(돌기와)을 얹었다. 우진각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4.01.14
도덕경 해설 <도덕경 해설> * 한국참풍수지리학회 카페에서 복사 본 사진은 중국 노산을 다녀오신 천년바위님께서 올려 놓으신 사진을 옮겨 왔으며 그 내용과 해설을 인터넷에서 발췌 올려봅니다. 도덕경 하편이란 글씨가 선명합니다. 천년바위님께 감사드리며 시간 관계상 끝까지 읽지 못하신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3.12.26
화서 이항로 선생 생가 및 풍수원 성당 탐방 <세종문학회 문학기행> 화서 이항로 선생 생가 및 풍수원 성당 탐방 때 : 2013. 9. 12 (목)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