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연희의 옛그림 / 선비와 학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게재 일자 : 2013년 01월 11일(金) 선비와 鶴… 마주한 두 시선의 맑고 깨끗한 교감이여! 이징의 방학도 ▲ 이징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방학도(비단에 수묵, 25.7×29.2㎝)’. 고려대박물관 소장. ▲ 정선 ‘고산방학도(비단에 채색, 29.2×23.5㎝)’. 독일 ..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3.01.16
한시각의 北關酬唱錄 韓時覺의 북관수창록 북관수창록北關酬唱綠 화첩은 김수항(金壽恒;1629-1689)이 길주(吉州) 지방관들의 안내를 받아 칠보산을 유회하면서 읊은 시와 동행한 화원 한시각이 시와 부합되는 승경을 그려 시화첩으로 꾸민 것이다. 총 32면으로 실경산수 6면과 24면의 시가 수록되었으며, 김수항..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3.01.13
韓時覺의 北塞宣恩圖 한시각 - 북새선은도오늘의 미술 2012/06/06 20:11 http://blog.naver.com/dpslap2/40160728477 전용뷰어 보기 한시각 [북새선은도] 1644 비단에 색ㅣ국립중앙박물관 화사한 청록물감으로 연출된 장대한 기록화이다. 가로 길이 6m가 넘는 화폭에는 험준하면서도 부드러운 산세가 병풍처럼 장막을 쳤고, 길고..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3.01.12
민화(民畵) 민화의 정의 우리민화는 생활 속의 주제와 우리신화 속의 주제를 표현 하였는데, 민화란 Folk 민간에서 시작된, 민중[서민]의, 민속의 의미로 folk culture 민속 문화,folk painting 민속화,folk ballads 민요(조)의, 민속 음악의, 세인(世人)folk museum 민속 박물관,folk beliefs 민속 신앙...등을 일컫는데, Fo..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3.01.10
고영희의 옛그림 / 耆英會圖 (기뻐하다) 음주의 禮는 서로 기뻐하는 것, 마시되 취하지 말라 ⑧ 작자미상 ‘기영회도’ - 취(醉)할 것인가, 말 것인가 ▲ 작자미상, ‘기영회도’, 1584년, 비단에 채색, 163.0×128.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이한철 ‘취태백도’, 19세기, 종이에 담채, 지름 80㎝, 서울대박물관 소장. 한 해가 저무..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2.12.30
고연희의 옛그림 / 高士觀水圖 (물을 보다)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게재 일자 : 2012년 11월 09일(金) 바위에 엎드려 물을 보는 선비… 쉼없는 수행을 말씀하시는군요! (1)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 물을 보며 배우다 ▲ 조선시대 학자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 명나라 ‘고운공편심’ 문화일보는 화가 사석원 씨의..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2.12.25
고연희의 옛그림 / 舍人巖 (나들이에 흥이 돋다)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게재 일자 : 2012년 11월 16일(金) 엉뚱한 趙 대감님, 기암절벽 앞에서 興이 도도해지는구나 (2) 이방운의 ‘사인암(舍人巖)’ - 조(趙)대감의 단양(丹陽)나들이 ▲ 이방운의 ‘사인암(舍人巖)’. 사인암과 주변 강을 실제 풍경과는 반대방향에서 그렸다...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2.12.25
고연희의 옛그림 / 松下讀書圖 (선비들의 로망)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게재 일자 : 2012년 11월 23일(金) 老松 아래서 세상잊고 讀書 조선 선비들의 로망이었다 (3) 이명기 ‘송하독서도’ - 소나무 다 늙도록 책만 읽는 선비라니! ▲ 이명기의 ‘송하독서도’(103.8×49.5㎝, 종이에 옅은 채색).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 조석..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2.12.25
고연희의 옛그림 / 秋景山水圖 (떠나가리)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게재 일자 : 2012년 11월 30일(金) 삶이 번잡했던 벼슬아치들 江湖에 내려앉아 세월 낚는 부들삿갓 ‘어부’를 꿈꿨다 (4) 이흥효 ‘추경산수도’ - 나도 그대처럼 권력에서 떠나가리 ▲ 기러기 내리는 강남의 가을을 그린 이흥효의 ‘추경산수도’.(16.. 해월의 뜨락/문화재 탐방 201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