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의 시조마루/현대시조

중앙시조백일장 / 2011. 6월 수상작

채현병 2011. 7. 4. 23:49

 

                     중앙시조백일장 6월 수상작

                     

                    미니 슈퍼 김씨

               <장원수상작>                                         김지선

                 

         C상가 끄트머리 미니슈퍼 주인 김씨는

         막걸리 달빛 띄워 가슴으로 들이켜고

         다 못 쓴 일기 한 장씩 새벽별에 걸어둔다

          

         마누라 손맛 담긴 바지락 국 한 그릇은

         몇 년 전 떠나버린 신기루와 같은 기억

         명치 끝 박힌 우물에 삼킨 말이 고인다

           

         매일 밤 잠들지 않는 한 집 건너 편의점엔

         출입문 달린 방울 제 목청껏 울어대는가

         홀로 선 가게 마루에 먼지 쌓인 몽타주뿐

         

         귀 떨어진 소파 위로 노루잠을 흩어놓고

         새벽의 가장자리를 멍석처럼 말고 있다

         너절한 옷깃 사이로 안개구름 퍼진다

 

                                    장원약력

                1980년 서울 출생.건국대 국문과 대학원 박사과정

 

 

                    아버지의 솟대

              <차상 >                                       최세희

          

         짭조름 울음 먹여 흥건히 젖은 솟대

         부황기 깊어져도 한 자리만 지킨 고집

         그리움 오롯이 빚어 북녘 향해 앉았나

         

         비 오면 지우산 씌워  자늑자늑 보듬어도

         부리마저 뭉그러져 울지도 못하던 새

         적십자 한 통 전화에 퍼드득,날개쳤다

         

         "이 시계 큰아버지래 주셨지 않았습니까"

         학도병 끌려갈 때 채워준 그 시계 아닌가

         아우를 똑 닮은 조카 첫 만남도 낯이 익다

         

         노을빛 타고 뼈마디로 스며드는 아우 온기

         아른아른 멀어진 조카 꿈속에도 눈에 밟혀

         60년 멈춰진 시계 느적느적 숨을 쉰다

 

 

 

                      목련꽃 지다

              <차하>                                             이행숙

                     

           한 때는 부풀었을 어머니 애련한 꿈

           보슬비 한 자락에 떨어져 바래지던

           허망한 젊은 날들이 백골되어 누웠다

           

           더러는 짓밟히어 곤죽이 되더라도

           달달한 살 냄새가 그리워진 이 4월에

           당신의  하늘 언저리 또 시작된 기다림.

         

          

              

<이 달의 심사평>


             우리 시대 고단한 서민의 선명한 몽타주

뒤통수를 난데없이 난타하는 죽비 같은 작품을 기대했는데, 이번 달 응모작은 질과 양에서 다소 내리막이다.

그럼에도 장원으로 뽑힌 김지선씨의 ‘미니슈퍼 김씨’는 소시민의 막막한 삶을 오롯이 포착한 가작이다. 서정적 자아의 나지막한 목소리 속에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서, 참고 견디면서 아프게 살아가는 이 시대 서민의 몽타주가 손가락 끝에 잡힐 듯이 선명하다.

 차상으로 최세희씨의 ‘아버지의 솟대’를 뽑았다. 오랜 세월 동안 학도병으로 끌려간 아우를 그리워하며 ‘부리마저 뭉그러져 울지도 못하’는 ‘솟대 위의 새’로 살아왔던 아버지의 비극이, 호국의 달 6월을 맞아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말을 부리는 솜씨와 완성도 면에서 장원 작에 다소 밀렸다.

 차하 이행숙씨의 ‘목련꽃 지다’는 어머니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목련꽃에 겹쳐놓은 소품이다. 가락이 안정돼 있는데다가 서정의 건강성도 돋보인다.

 

이병철·이형남·최경후씨의 작품을 끝까지 손에 들고 망설였다.

심사위원 / 이종문·강현덕(집필 이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