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의 시조마루/현대시조

(영모재 탐방기념) 한가락 21돌 행사 / 평강채씨 문중, 명문가로 초대받다

채현병 2011. 5. 1. 23:06

 

              麗末節臣찾기행사  永慕齋탐방

              한가락시조 21집 출판기념회에

                    평강蔡씨 문중, 명문가로 초대 받다

                                                                                                                  때 : 2011. 4. 29 (금)

                                                                                                                  곳 : 국방부 민원실

 

 

        < 永慕齋 >

                   - 두문동 72현인 蔡王澤을 모신 사당

                   - 全北  群山市  聖山面  大明里

 

        < 蔡王澤 >

                  - 杜門洞 72賢人

                  - 고려 高宗朝(1214~1259)에 金紫光綠大夫  三師太師  門下侍郞  平章事上護軍 

                     判吏部事 太子太師에 오르심.

                  - 시조 景平公 諱 松年의 6世孫.

                  - 고려 34대 恭讓王 때, 神虎衛 保勝護軍 上將軍(족보에는 領護軍)에 재임 중에 고려 사직이 

                     무너지고 李成桂의 조선이 개국되었는데, 新王朝 에서 출사를 회유했으나 이를 거절하고,

                     고려조에 충성을 바치며 不事二君의 충절과 지조를 지키기 위하여 개성의 동남쪽에 있는  

                     不朝峴에 조복을 벗어 던지고 헌옷과 헌갓으로 갈아입은 후, 경기도 개풍군 光德面 광덕산

                     서쪽 기슭에 위치한 杜門洞으로 들어가 새로 개국한 李朝에 끝까지 出仕하지 않고 항거한

                     두문동 72현의 한 분이심.

                 -  부친인 少監公 諱 陽生께서는 앞으로 닥쳐올 禍를 피하기 위하여 은밀히 뗏목배를 마련해

                    두문동에 들어간 아들 왕택(본명 玉澤 ; 후에 고려 왕실에 대한 충절으로 王澤으로 개명)과

                    손자 孝順과 조카 智生 등 식솔들과 함께 한적한 밤에 개성 예성강변에서 망국의 한을 품고

                    정처없이 서해로 浮海하여 수일을 남하하던 중, 어느 강가의 갈대숲에 뗏목이 걸려서 멈추

                    게 되었는데 그 곳이 금강하구에 있는 西浦(月浦 ; 지금의 군산)이라, 여기에서 상륙하여 20

                    리쯤 거슬러 올라가서 당시로는 인적이 드문 산중오지로써 산세가 수려한 大明山 골짜기의

                    臨陂 상북면 香林佛舍(현재 서당골)에 삶의 터전을 잡아 은둔하면서 後學을 양성하심.

 

         蔡王澤 先祖의 공적을 기려 지은 순우리말(고유어)時調 (2010.7.4)

 

                         영모재(永慕齋)에서

 

                    꿋굿한  마음 하나  예 오면  보리로다

                    아버지  뒤를 따라  멀리로  숨어든 땅

                    몇 즈믄  나달이 가도  한결같은  빛이라

                                                                                                 (中觀 최권흥)

 

                    한 거믄  한 멧터에  할배님  드시오니

                    한마음  높은 뜻이  한 즈믄  이어내려

                    한겨레  한가락으로  길이길이  빛나리

                                                                                                 (海月 채현병)

 

                    언젠들  잊을소냐  이름에  담아두고

                    새쪽에  뿌린 눈물  촉촉이  스며들어

                    끝없이  솟는 싹이여  붉은 마음  닮았네

                                                                                                  (고룡 맹치덕)

 

                    날마다  그 자리에  같은 곳  바라보며

                    푸르른  하늘바다  님의 뜻  닮았든가

                    솔내음  나는 이 자리  그 옛날의 그 멈춤

                                                                                                  (욕천 최장호)

 

                    아 어찌  잊으리오  옥(玉)자는  왕(王)자로다

                    어버이  이끄심에  옛 서울  그립더니

                    뒤뜰에  솟은 대나무  마디마저  굵구나

                                                                                                  (노산당 전향아)

 

                    끝까지  임자 섬겨  이름도  바꿨노라

                    아버지  뜻을 쫓아  마녁에  숨었으니

                    이곳에  풍기는 내음  골잘해를  이으리

                                                                                                   (갑고 홍영표)

 

                    아버지  모시고서  서당골  숨어 살며

                    옛 임금  그립다고  뫼 올라  울었으니

                    곧아서  걱정이라고  이은이들  일컬어

                                                                                                    (서봉 조철식)

 

                    윗분을  모시면서  아래를  거느리신

                    지금은  보기드문  가르침  주셨으니

                    어버이  뜻을 지켜온  아름다운  한 집안

                                                                                                     (설전 임준신)

 

                    물 따라  바다 멀리  배 몰아  숨어들어

                    아버지  말씀 듣고  띠풀집  지었노라

                    옛 임금  잊지 못하여  이름자도  바꿨다

                                                                                                     (가산 임봉훈)

 

                    아버지  뜻 따르는  그 마음  깊었으니

                    칡넝쿨  끊어 지은  풀기둥  움집에서

                    모진 삶  이겨낸 뒤에  되찾아온 그 빛이

                                                                                                    (송암 김영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