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의 시조마루/현대시조

춘원 이광수의 시조

채현병 2016. 9. 26. 17:02

) 춘원 이광수 시조

 

1.봄 - 춘원 이광수


노란  버들  숲을,  푸른  보리  밭을

기워서  흐르는,  햇빛  받은  아침  개울

먼  산을  가리운  안개로  모두  和平하여라


올망졸망한  것,  들숭날숭한  것

우리네  사는  집이,  우리네  죽은  무덤

작은  게  흠이  아니라  빛  있으리  하노라


앞에  들이  있고  뒤에는  큰  산  있고

산  지혀  마실이요  마실  돌아  강이로다

보릿빛  한창  푸른  제  아침  안개  흘러라

                      ―『춘원시가집』  수록


자연의  풍광을  읊은  시조로서  ‘노란,  푸른,  보라’빛의  색채어와  ‘올망졸망한  것,  들숭날숭한  것’과  같은  의태어가  겹쳐지면서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고  있다.  앞에는  들이  있고  뒤에는  큰  산이  있는  전형적인  우리네  시골  마을,  그곳에는  ‘올망졸망한’  가난한  삶과  ‘들숭날숭한’  죽음이  함께  자리하고  있지만  ‘먼  산을  가리운  안개’처럼  삶과  죽음의  경계가  지워진  화평한  봄날이  흐르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  삶과  죽음은  결코  화해할  수  없는  대립적인  것이지만,  자연  속에서  삶과  죽음은  조화를  이룰  줄  안다.  죽은  생명들을  다시  불러들여  자리를  마련해  주는  봄,  그  봄  속에  춘원은  따사롭고  아름다운  시적  공간을  설정하고  있다.  부드럽고  서정적인  시어나  시상의  전개가  춘원의  시에서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유형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2.萬瀑洞·2


바람이 물소린가 물소리 바람인가?

石壁에 달린 老松 옴추리고 춤을 추니

白雲이 허우적거려 蒼天에서 내리더라

靜壑峯 솔을 버혀 一張琴 하옵거든元花洞天의 神曲도 전하련만

天翁이 말라 하시니 할 일 없어 하노라


靜壑峯 香爐峯에 소나무 좋을시고!

붉은 몸 푸른 잎에 대조차 곧단 말가?

絶壁에 人跡이 끊였으나 못 만짐이 설워라


石壁에 붙은 저 허리 굽은 老松아

하고 많은 땅이어늘 구태여 거기 어이?

우리도 俗塵을 狂오매 예 왔노라 하더라

―『춘원시가집』


3.鴨綠江에서


우리 祖上님네 어찌어찌 오셔견고?

아리나리 건너 푸른 오리 검은 오리

맑은 내 건너시와서 왕검서울 여시니라


조상님 겨오신 곳 여기어나 저기어나

산이면 太白, 물이면 한물 큰물

큰 뜻을 품으시니 안 그럴길 없어라


[江건너 되따라]니 그 무슨 말씀인고?

祖上님 사시던 터 되딸 줄이 있소리까

언제나 옛터로소이다 우리 옛터로소이다

―『동광총서』(1933)


*오셔견교: 와 계신고, 오셨는고.

*아리나리: 阿利那里 혹은 阿利那禮니 運阿, 鴨綠江의 우리 말.

*푸른 오리: 압록강 오리꼴: 鴨綠谷, 여기서 義州라는 이름이 생겼다. 義字는 오리―옳이.

*맑은내: 淸川江

*왕검서울: 王儉城, 平孃. 平孃仙人王儉之宅



4.述懷


내 맘이 꾸는 꿈에 내 울고 웃음같이

제 지은 제 세계에 나고 죽고 하는고야

꾸음도 깨어 나옴도 다 꿈인 줄 아니라


울음도 웃사옴도 꿈인 줄은 알면서도

못 깨친 중생이 애달파함 보올 때에

그 꿈을 깨와 주랴고 또한 꿈을 꾸노라


꿈이 꿈인 줄을 알올진댄 어떠랴만

금새 깨올 꿈도 깨기 전엔 참인 양 해

가위에 눌린 중생을 보고 눈물 지노라

―『춘원시가집』



5.넝마장사


지게 지고 저울 들고 넝마, 수지, 파지 장수

황해도 사투리로 익살 섞어 값을 깎아

한 짐은 되는 내 책을 七十錢에 사 가니라

―시집 『사랑』



6.부성이네


과일로 심 안되어 닭을 치다 하더니만

막벌이 석수 일 다 잘하는 부성이네

식전에 세간을 싣고 앞 개천을 건너더라

―시집 『사랑』


7.꿈

날 잊고 가신 님을 내어이 못잊고서

밤이면 꿈이 되어 님의 곁을 따르는고

님이야 잊으라하나 내못 잊어 하노라


가시고 안오시매 잊으신 줄만 여겼드니

꿈에 와 뵈오시니 님도 나를 생각는지

반생에 깊이든 정이 가실 줄이 있으랴


사랑이 깊은 줄은 떠나보면 아올 것이

다토고 밉든 것도 생각하면 다 사랑을

끄칠 줄 모르는 정을 인제 안가 하노라

―『신인문학』(1935. 2)


8.금강산유기(金剛山遊記)

―장안사(長安寺)에서 표훈사(表訓寺)를 지나 정양사(正陽寺)에

1

남을 속인 죄야 죽어 마땅하다마는

언약을 지켰으니 거사(居士) 또한 군자로다

소년에 바위로 맺힌 한을 풀어봄이 어떠리


효자의 붉은 뜻이 굳어 바위 되단말가

천년에 솟힌 눈물 바위 녹아 소이로다

소지고 넘치는 물은 한강수로 가더라

2

충혼(忠魂)이 접할곳 없이 고전(古殿)에 들었거늘

철없는 아이놈들 그마자 貳닐단말가

아마도 이 땅의 험악하야 복칠곳 없는가 하노라

3

천하사(天下事) 어이하고 구경만 다니신고

사직(社稷)의 안위를 불상(佛像)에 비올적에

동해에 구석 또 다하니 못내 슬허하노라

` 4

만승(萬乘)의 위(位)를 뷔고 산천을 구경하니

풍류야 풍류라마는 창생(蒼生)을 어이하리

한말로 간(諫)할 이 없으니 못내 슬허하노라

―『신생활』(1922 .6)



9.금매화(金梅花)


오늘 오는 비는 진달래 떨우는 비

비마저 흙묻어 송이송이 지는 그를

금매화 뒤이어 피니 더욱 비감 하여라.

―『문예공론』(1929. 6)


10.매아미


매아미 내 창 밖에 아침마다 와서 운다

아무리 타일러도 못 깨닫는 둔한 나를

깨울까 깨울까 하신 임의 뜻이시로다


매아미 아뢰는 말 다 알지는 못하여도

보름도 못 살 몸이 재오재오 외치움은

덧없다 덧없어라를 노임인가 합니다


열나흘 짜른 목숨 할 일도 많은 양 해

이 나무 저 나무로 울고 가고 울고 가서

울다가 울다가 진해 한평생을 마치더라

매아미 우는 뜻이 임 부르다 하건만은

사랑의 한 순간이 일생 뜻은 아닐 것이

못 일고 남기는 뜻을 전하란가 하노라

―『삼천리』(1939. 1)


11.비들기


오오 봄아침에 구슬프게도 우는 비들기

죽은 그애가 퍽으나도 섧게 듣던, 비들기

그애가 가는 날 아치에도 꼭 저렇게 울더니.


그애 그 착한 딸이 죽은 지도 벌서 일 년.

「나도 죽어서 비들기가 되고 싶어

산으로 돌아다니며 울고 싶어」하더니.

―『조광』(1936. 5)


12.장자를 읽고


임이 타시오니 내 뫼사와 듣잡다가

흥겨워 나는 춤을 아니 추고 어이하리

추다가 임을 뵈오니 임도 기뻐하셔라


임이 지으시니 나도 따라 짓삽다가

도로 헐으시매 임을 따라 헐다니만

허심도 지으심인 줄 배와 기뻐하놋다.


기쁘면 기쁜대로 슬프면은 슬픈대로

늙음의 병들음이 임의 가락 맞추다가

끝으로 죽음의 장난에 맘껏 추고 가오리다

―『삼천리』(1939. 1)



13.하염없는 슬픔


이른 봄 초어스름 녹인 땅이 다시 얼제

앓고난 어린 것들 노래불러 재고나면

내 마음 하염없이도 지향할 바 몰라라


곤한 몸 쉬어볼까 눈감고 누웠어도

세포 알알이 저려 잠을 못 이룰제

어린 것 돌아누우니 오줌 누어주리라


반찬 가개에 모시조개 달래 나면

양짓쪽 냉이싹도 돋아난다 하건마는

내 맘에 숨을 슬픔도 봄을 따라 깨어라


마흔한째 돌도 그저께 지냇으니

나이 이만하면 맘잡을만 하건마는

타고남 흐려 그런가 더욱 들떠 하노라


고요한 혼자때면 인생이 멀어지네

항렬 지난 뒤에 이 몸 혼자 떨어진 듯

희망도 따를 기운도 다 풀린 듯 하여라


XXX일? 아아 XXX일 하노라 하였것다

내 한다 하야 나라 바로 잡혔던가

사십년 헛된 삶음을 불에 넣고 싶어라


모르는 친구들이 나를 아껴주울 적이

그적이 더더구나 죽고 싶은 적이로다

혹시나 칭찬 줄때면 매맞는 듯 하여라


사십에 한일 없이 더 바랄 것 무엇이리?

속임 아니언말 속인 것만 같은지고

툭 털어 말씀하오면 염체없는 나외다


호올로 역사(驛舍)에 누워 잠못일워 하올 적에

어디서 예 듣던 벌레 귀뚤귀뚤 우노매라

울다가 끊는 도막이 하도 외로워 하노라


산깊어 봄 늦은가 오월인데 벚꽃지네

천인절벽에 남모르게 피었다가

오늘에 객자(客子) 이르니 흩어 볼까 하노라


낙폭(落爆)의 우는 소리 무슨 뜻을 아뢰는고

가만히 들어보면 소리소리 제 가락을

조화의 다못 편 뜻을 들어볼까 하노라

―『개벽』(193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