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민영(安玟英)의 사랑가(1)
海月 채현병
<朴孝寬과 安玟英 관계>
1. 朴孝寬(1800~1880)
- 雅號 : 雲厓
- 五軍營 細樂手 출신 가객.
- 흥선대원군의 후원으로 인왕산 弼雲臺에 雲厓山房을 만들어 많은 제자들을 육성 하여 전승시킨 가곡예술의 마지막 보루.
- 흥선대원군의 후원으로 제자 안민영과 함께 전통음악의 총 결산서인 [歌曲源流] 편찬(1876, 고종 13년)
- 가곡원류에 시조 13수 수록
- 대표작
空山에 우는 접동 너는 어이 우짖느냐
너도 나와 같이 무슨 이별 하였느냐
아무리 피나게 운들 대답이나 하더냐
*필운대 운애산방 / 배화학당이 들어서며 흔적이 사라짐(현재 필운대 암벽만 남음)
2. 安玟英(1816. 6. 29~1885년 이후)
- 雅號 : 周翁
- 서얼출신으로 성품이 고결하고 음률이 정통하며 산수를 즐겨 전국을 떠돌아 다니 며 노래를 지어 부름.
- 박효관을 스승으로 모시고 雲厓山房에서 창법을 배움.
- 27세(1842) : 호남지방 여행. 남원 기생 ‘明月’을 만남
- 37세(1852) : 영남지방 여행
- 47세(1862) : 금강산 여행
- 49세(1864) : 고종즉위 하축 시조
- 52세(1867. 고종4년) : 대원군 모심
- 61세(1876. 고종13년) : 스승 박효관의 지도를 받아 [가곡원류] 편찬
(안민영 시조 27수 수록)
- 65세(1880. 고종17년) : [금옥총부] 발간(안민영 개인가집, 시조 181수)
- 70세(1885. 고종22년) : 마지막 작품 ‘첨사 안경지’ 남김
- 대표작
님 그린 相思夢이 실솔의 넋이 되어
秋夜長 깊은 밤에 님의 방에 들었다가
날 잊고 깊이 든 잠을 깨워볼까 하노라
<안민영(安玟英)의 사랑>
1. 강릉 명기 紅蓮과 백년가약
월로(月老)의 붉은 실을 한 발암만 얻어내어
란교(鸞膠)의 굳센 풀도 시운(時運)지게 붙였으면
아무리 억만년 풍우(風雨)엔들 떨어질 줄 이시랴
* 月老 : 月下老人. 남녀의 인연을 맺어준다는 전설 속 노인(당나라 고사/韋固).
* 발암 : 발(바람). 실과 노끈 따위의 한 발 가량이 되는 길이.
* 鸞膠 ; 부부 사이의 의를 굳게 해주는 질긴 풀. 鸞(난새 란)
* 時運 : 일정한 시대의 운수
<詩作 후기>
나는 강릉의 紅蓮이와 백년가약을 맺었다. 이 노래를 지어 그것을 더욱 굳게 하였으나 약속 처럼 되지 못하였으니, 그 한을 가히 이길 수 있었겠는가?
* 紅蓮 : 여주 양가집의 딸로 태어나 성장했으나 꾐에 빠져 妓籍에 오름. 빼어난 미모와 함께 가무에 능함. 안민영이 홍련을 기적에서 탈역(頉役)시킨 후 백년가약을 맺음.
그려 걸고 보니 정녕(丁寧)헌 저다마는
불러 대답 없고 손쳐 오지 아니하니
야속타 조물(造物)의 시기(猜忌)함이여 혼 붙일 줄 이시랴
* 丁寧헌 : 정녕
* 손쳐 ; 손짓해도
* 猜忌 : 시기. 샘을 내고 미워하다
<詩作 후기>
紅蓮은 출역한 후 나와 서로 가까워졌으며, 죽을 때까지 함께 하자는 뜻으로 굳은 약속을 하여 잠시도 떨어질 수 없었으나, 造物의 시샘이 많아 마침내 뜻과 같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피차간에 골수에 맺힌 정을 어느 날에 잠시라도 잊었겠는가? 紅蓮의 모습을 그려서 벽에 걸어두고 보다가, 부질없는 것 같아 얼마 아니 되어 불에 태워 버렸다.
'해월의 시조마루 > 시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문학세계 / 채현병 (1) | 2019.12.31 |
---|---|
시조 / 오장원 추야월에 (0) | 2019.11.12 |
박효관 / 인왕산 호걸지사의 맹주가객 (0) | 2018.01.17 |
시조형식 분류 및 표현 (0) | 2018.01.16 |
조선시대 시대별 시조작가와 그 내용 (0) | 2017.02.11 |